티스토리

KeepCoing
검색하기

블로그 홈

KeepCoing

keepcoing.tistory.com/m

킵코 님의 블로그입니다.

구독자
1
방명록 방문하기

주요 글 목록

  • [javascript] 배열1 - 얕은 복사, 깊은 복사 처음 얕은 복사, 깊은 복사를 접했을 때 도대체 무슨 소린지 몰라서 두통이 왔던 기억이 있다. 알아보자 얕은 복사와 깊은 복사! 여기 배열이 있다. const seventeen = ["SCOUPS", "JEONGHAN", "JOSHUA"] seventeen95와 같은 값을 가진 새로운 배열을 만들고 싶다. 그럴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. 1. 스프레드 연산자 스프레드 연산자를 사용하면 seventeen 배열안이 있는 값이 seventeen95에 복사된다. const seventeen95 = [...seventeen] console.log(seveteen95) // ["SCOUPS", "JEONGHAN", "JOSHUA"] 1. Array.slice() 메서드 slice() 메서드는 배열의 .. 공감수 0 댓글수 0 2022. 12. 29.
  • [javascript] 함수3 - Rest 연산자 오늘은 스프레드 연산자와 비슷하게 생긴 Rest 연산자를 알아보자. Rest연산자는 함수가 얻는 모든 인수를 배열에 합쳐준다. 그래서 함수를 생성할 때 파라미터가 몇개나 들어올지 모르는 상황에서 유용하다. const fun =(...rest)=> { return rest } const result = fun(1,2,3,4,5) console.log(result) // [1,2,3,4,5] Rest 연산자를 함수 매개변수에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다른 매개변수가 있을 경우 맨 뒤에 적어줘야 한다. Rest 연산자를 앞에 적어줄 경우 에러가 발생한다. const fun = (num1, num2, ...rest) => { // 순서가 중요 ... } 또 하나는 Rest 연산자는 하나만 존재할 수 있다는 .. 공감수 0 댓글수 0 2022. 12. 20.
  • [javascript] 함수2 - 화살표 함수 함수를 표현하는 방식 중 화살표 함수가 있다. 화살표 함수는 코드를 보다 짧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. 1. 화살표 함수 구문 기본 구문 const sum = (num1, num2) => { const result = num1 + num2 return result } // function 키워드 삭제, 매개변수와 {} 사이에 => 를 넣어준다. 매개변수가 하나만 있을 경우 const message = userText => { alret(userText); } // 매개변수가 하나만 있을 경우 괄호()를 생략할 수 있다. 매개변수가 없을 경우 const fun = () => { console.log("Hello world!") } // 매개변수가 없을 경우 괄호()를 생략할 수 없다. 함수 안에 식이.. 공감수 0 댓글수 0 2022. 12. 17.
  • [javascript] 함수1 - 함수 정의하기 함수란 무엇인가? 함수는 어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블록{ }이다. 어떤 기능을 반복적으로 사용된다면 함수로 만든 후 여러번 호출해서 쓸 수 있다. 그렇다면 함수는 어떻게 만들까 일단 함수를 정의하는 방법은 함수 선언문, 함수 표현식, 화살표 함수가 있다. 나는 함수 선언문, 함수 표현식을 알아보려고 한다. 1. 함수 선언문 function funName(num1, num2) { return num1 + num2 } funName(1, 2) // 함수호출 return 값은 3 함수 선언문은 function 키워드 뒤에 함수이름을 정의해준다. 함수 이름 뒤에는 괄호()안에 매개변수를 넣어준다. 없을 경우에는 생략가능하다. 그 다음 중괄호{} 안에 함수를 호출했을 때 실행될 코드를 넣어준다. 2. 함수 표현.. 공감수 0 댓글수 0 2022. 12. 14.
  • [javascript] Set을 이용해서 중복 제거하기 Set은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 다른 사람 풀이를 보고 알게되었다. 나는 조건문을 이용해서 중복을 제거했는데 다른 사람 풀이를 보니 Set을 이용해서 중복을 제거하더라..! 내가 제출한 답 : function solution(numbers) { var answer = []; for(let i=0; i 공감수 0 댓글수 0 2022. 1. 6.
  • [JavaScript] 객체 객체란? 자바 스크립트하면 객체, 객체 하면 자바스크립트 객체는 프로퍼티로 구성된 집합으로 프로퍼티는 키와 값으로 구성된다. 객체의 생김새는 다음과 같다. const classmates = { name : "cat", // 프로퍼티 키 : name, 값 : cat age : 3 } classmates 객체 안에는 2개의 프로퍼티가 있다. 각 프로퍼티의 키는 name, age, 값은 cat과 3이다.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값은 프로퍼티의 값이 될 수 있다. 함수도 프로퍼티 값이 될 수 있다는 말! 프로퍼티 값이 함수일 경우에는 일반 함수와 구분하기 위해 메서드라고 부른다. 객체를 생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객체 리터럴을 사용하는 것이다. 객체 리터럴은 중활호({...}) 내에 0개 이상.. 공감수 0 댓글수 0 2022. 1. 3.
    문의안내
    • 티스토리
    • 로그인
    • 고객센터

   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.

    © Kakao Corp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