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  • coingcoing
STUDY/JavaScript

[javascript] 함수2 - 화살표 함수

by 킵코 2022. 12. 17.

멋진 각오

함수를 표현하는 방식 중 화살표 함수가 있다.

화살표 함수는 코드를 보다 짧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.

 

1. 화살표 함수 구문

기본 구문

const sum = (num1, num2) => {
	const result = num1 + num2
    return result
}

// function 키워드 삭제, 매개변수와 {} 사이에 => 를 넣어준다.

매개변수가 하나만 있을 경우

const message = userText => {
	alret(userText);
}

// 매개변수가 하나만 있을 경우 괄호()를 생략할 수 있다.

매개변수가 없을 경우

const fun = () => {
	console.log("Hello world!")
}

// 매개변수가 없을 경우 괄호()를 생략할 수 없다.

함수 안에 식이 하나만 있을 경우

const sum = (num1, num2) => num1 + num2

// 함수식이 하나만 있을 경우 중괄호{}와 return문을 생략할 수 있다.

함수안에 식이 하나면서 객체를 반환하는 경우

const fun = () => {{ age : 12 }}

// 객체를 반환해야 하는 경우에는 중괄호{}로 한번 더 감싸줘야한다.

그 외에 화살표 함수는 rest와 구조분해할당도 사용할 수 있다. 

const fun = (param1, param2, ...rest) => {}

const fun = (a = 0, b = 2) => a + b

 

화살표 함수는 일단 여기까지 정리하기로..!! ;)

다음에는 함수..rest에 대해서 정리해보자!

 

집인데 집에 가고싶어요

 

댓글